공공주택 청약 시 공고문에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 별 가구당 월평균 소득이라는 문구가 궁금하셨던 분들 계셨을 겁니다. 도시 근로자 월평균 소득이란 실제 소득수준의 평균 값을 말하며 주택 청약 시 입주 자격 증빙을 위해 소득 기준 산정에 활용됩니다. 해당 포스팅에서는 월평균소득 확인 방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.
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확인 바로가기 →1.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이란?
- 도시 근로자 월평균 소득은 공공주택 청약 공고문 등에 활용되는 중요한 지표로 KOSIS 국가 통계포털 사이트에서 소득구간별 가구당 월평균 가계수지 (도시, 2인 이상)을 통계 내어 관리하고 있습니다. 이 통계는 분기마다 발표되며 현재 2025년 01월 08일 기준 가장 최신 동향은 2024년 03분기 즉 2024년 07월, 08월, 09월 통계 데이터를 활용하여 산정되었습니다.
- 전년도 도시근로자 실제 소득수준의 평균 값을 말하며 공공임대주택 청약 시 입주 자격 증빙을 위해 소득 기준 산정에 활용됩니다.
-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은 차상위 계층 선정을 선정하는 지표로도 활용됩니다.
2.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확인 방법
월평균 소득 조회 방법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. 직장인의 경우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에서 직장보험료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. 아래 루트로 조회하셔서 직장가입자 보험료 개인별 상세조회 페이지에 건강보험 평균보수월액으로 확인하시면 됩니다. 개인 사업자, 프리랜서의 경우 국세청 홈택스 홈페이지에 접속하셔서 소득금액증명을 조회하시면 지급받은 총액으로 확인하시면 됩니다.
- 직장가입자 :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 > 민원여기요 > 개인민원 > 직장보험료 조회 > 직장가입자 보험료 개인별 상세조회에 평균보수월액
- 개인 사업자, 프리랜서 : 국세청 홈택스 홈페이지 > 민원증명 > 소득금액증명
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대부분 청약 공고문에 표기됩니다. 따라서 본인 가구의 월평균 소득만 확인하면 되니 확인 바랍니다.
3.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 소득 확인
- LH 청약플러스 공공 주택 청약 시 소득 기준에 활용되는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월평균소득은 100%이하이며, 1인가구 120%, 2인가구 110% 기준입니다.
- 2024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소득의 100%는 1인 가구 4,179,557원, 2인 가구 5,957,283원, 3인 가구 7,198,649원, 4인 가구 8,248,467원, 5인 가구 8,775,071원 이하입니다.
- 아래 가구원수는 태아를 포함합니다.
가구원수 | 월평균 소득 100% |
1인 가구 | 4,179,557원 이하 |
2인 가구 | 5,957,283원 이하 |
3인 가구 | 7,198,649원 이하 |
4인 가구 | 8,248,467원 이하 |
5인 가구 | 8,775,071원 이하 |
4. 결론
지금까지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은 주택 생애 최초 특별공급, 공공임대주택 입주 자격, 주거 급여 등 다양한 주거 복지 혜택과 지원 제도에 활용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. 가구원수별 가구당 소득 구간을 잘 확인하셔서 청약이나 복지 혜택 받아 보시길 바랍니다.
함께보면 좋은 글 : 2025년 LH청년전세임대주택 신청기간 및 방법 1순위 조건 총정리
1. 직장가입자는 월평균소득 어디에서 확인하나요?
직장가입자의 경우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 > 직장보험료 조회에서 가능합니다.
2. 개인사업자, 프리랜서는 월평균소득 어디에서 확인하나요?
개인사업자, 프리랜서는 국세청 홈택스 홈페이지에서 소득금액증명원 신청을 하시면 됩니다.
/